본문 바로가기
기획분석 리포트

서울 아파트 가격구간별(9억이하, 15억초과 등) 비율은? (2020.03.09 Update)

by 프롭테크 2020. 3. 9.
반응형

고가주택 대출 제한을 주요 골자로 하는 2019년 12.16 정책 이후 서울 아파트 가격대별 거래량 추세를 한번 살펴봤습니다.

데이터가 취합된 2006년 이후 전반적으로 아파트 평균가격이 오르다보니 절반 이상이던 3억 이하 아파트 거래비중이 10%대까지 떨어졌네요.

그 비중만큼을 이제는 6억 이하 아파트가 차지한 모양새입니다.

~6억 아파트는 작년에 50% 미만으로 비중이 줄었는데, 바꿔말하면 (거래된) 아파트의 절반 이상이 6억 초과의 아파트들이었다는 의미입니다.


그렇게 위쪽 색깔(고가 아파트)이 넓어지다가 V자 형태로 반전이 생겼는데요.

아직 등록된 거래 건수가 많지는 않지만 정책의 영향을 정통으로 맞은 초고가(15억 초과) 아파트 거래비중이 절반 이상 줄었고,

9억 초과 15억 이하는 소폭 감소, 6~9억대는 약간 증가, 3~6억 사이의 중가 아파트 거래가 가장 많이 늘어났습니다.



서울 아파트 가격구간별 비율서울 아파트 가격구간별 비율


각 구별로 살펴보면 아래 차트와 같습니다.

서울 시내 25개구 정렬을 평균가격순으로 나열한 결과입니다.

15억 초과 빨간부분은 첫줄 4개구(강남, 서초, 용산, 송파)가 두드러지고

그 이후 3행 3열 정가운데 위치한 영등포구 정도까지 6억 이하 아파트 거래가 가파르게 줄어든 것(보라색 면적의 급격한 감소)이 눈에 들어옵니다.

그 밑으로는 아직 6억 이하 아파트가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네요.

비중만 놓고 보면 대출 제약이라는 정책과 큰 상관이 없어보입니다.

하지만 간과하면 안 되는 것이 각 구별 비중이지 절대 거래량이 아니라는 점인데요,

4,5행의 아파트 거래량이 엄청나게 늘었습니다.
(그게 위 서울 전체 차트에서 나타난 것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참고글]

dapt.tistory.com/entry/3월-7일자-최신-서울-아파트-실거래가-분석-20200307-Update-정보

dapt.tistory.com/entry/3월-6일자-최신-서울-아파트-실거래가-분석-20200306-Update-정보


서울 아파트 각 구별 가격구간별 비율서울 아파트 각 구별 가격구간별 비율


아직 2020년도 거래 신고건이 많지는 않은데, 정책 변화가 없는 한 당분간은 위와 같은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

댓글